본문 바로가기

레전드히어로즈 스크린스포츠

스크린 스포츠로 관광객을 유치 가능할까?지역경제 살리는 스크린 스포츠!!

728x90

스크린 스포츠는 IT 기술이 시뮬레이션 산업과 유기적으로 결합하면서 그 활용 범위가 나날이 확장되고 있다. 가상현실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스크린스포츠’가 화활성화되면서 스포츠 문화 및 여가 생활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를 활용하여 지역경제를 활성화 시키는 랜드마크 사업에 도전해보자


랜드마크 ?

랜드마크 관광개발? 랜드마크가 뭘까?“어떤 지역을 식별하는데 목표물로서 적당한 사물 로, 주위의 경관 중에서 두드러지게 눈에 띄기 쉬운 것”이라고 정의를 하고 있다. 그러면 관광개발에서의 랜드마크 는? 뉴욕은 자유의 여신상과 엠파이어스테이트빌딩. 파리는 에펠타워와 개선문. 런던은 빅벤과 타워브리지. 시드니 는 오페라하우스와 하버브리지. 동경은 동경타워와 레인보우브리지. 그러면 서울은 N서울타워? 잠실 롯데타워? 부산은 광안대교? 해운대 마린시티? 제주도는 성산일출봉과 서귀포 중문? 최근 외국인들이 서울에 오면 가장 많 이 가는 곳을 서울시가 통계를 조사해 발표하였다.

중국, 일본, 아시아 관광객은 전부 명동을 가장 선호하였다. 반면 아시아 관광을 오는 미주, 구주 지역 관광객은 고궁을 가장 선호하고 있다. 그런데 중국 관광객이 가장 많을 것 같은 신촌/홍대는 일본인이 선호도 가 더 높았고, 중국 관광객은 동대문시장과 N서울타워를 가장 많이 선호하였다. 명동은 미주, 구주 관광객도 두 번째로 많이 찾는 관광지가 되었다

<한국의 대표 관광지이자 랜드마크 시설 - 경북궁 N서울타워 ,롯데타워>

<외국인 선호 관광지 / 관광지 선택 이유>

대부분이 쇼핑과 식도락 자연관광으로 몰려 있다.

이것은 한국 관광의 대표적인 문제로 보인다.

단순히 쇼핑하고 먹고 자연경관만으로는 앞으로의 관광 사업의 미래와 내수 관광이 줄어들 것 이라 예상


관광객과 내수고객을 늘려주는 스크린 스포츠?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에서 방영된 스크린스포츠 테마파크 체험>

전 세계적으로 스크린스포츠 시장은 크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중국, 일본 등의 주요 국가에서는 스크린테니스 시설이 확대되고 있으며, 창업 기회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럽과 아시아 지역에서도 스크린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잠실 롯데월드몰 레전드 히어로즈>

 
 
 
 

한국의 대표 랜드마크에 위치한 레전드 히어로즈 스크린스포츠 평일이지만 많은 내수고객 및 외국 관광객들이 방문을 하고 있다

그 외 많은 관광지에서 스크린 스포츠를 활용하여 고객 유치를 하고 있다!

 
 
 
 
 

<진주 레전드 히어로즈>

 
 
 
 

<쏠비치 레전드 히어로즈>

 
 
 
 

<소노캄 레전드 히어로즈>


이벤트 활용이 가능한 스크린 스포츠

노보텔 앰배서더 독산, 객실 1박+스크린야구 패키지

노보텔 앰배서더 독산 호텔이 2018년 KBO 프로야구 시즌을 맞아 야구 팬들을 위한 특별한 야구 객실 패키지를 다음달 6월 30일까지 선보인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야구 객실 패키지는 야구 팬들이 TV 중계 채널이나 야구장 직관을 통해 야구 경기를 응원하고, 스크린 야구를 통해 대신 즐길 수 있도록 준비했다. 가격은 13만 원(세금 별도)부터다.

패키지에는 노보텔 앰배서더 독산의 객실 1박과 호텔 인근에 위치한 레전드 스크린 야구존(독산 롯데시네마점)에서 2팀이 대전 게임을 즐길 수 있는 9이닝 게임 이용권 1매가 제공된다. 야구존 이용권은 2018년 7월 31일까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레전드히어로즈, 일본 대형 복합리조트에 매장 오픈

신개념 스크린 스포츠 테마파크 ‘레전드히어로즈’가 포니캐년과 함께 일본 고베에 위치한 대형 복합리조트 ‘네스타 리조트 고베(NESTA RESORT KOBE)’에 매장을 오픈 했다고 밝혔다.

레전드히어로즈는 지난해 12월, 대형 복합쇼핑센터 ‘이온몰’에 첫 일본 매장을 오픈했으며 꾸준한 인기에 힘입어 약 3개월만에 서일본 지역에 매장을 선보였다. 특히, 일본 시장의 특성을 잘 파악하고 있는 현지 엔터테인먼트회사 포니캐년과 공동으로 운영한다는 데에서 큰 의미가 있다.

네스타 리조트 고베에 입점한 레전드히어로즈는 약 300평의 대규모 공간에 야구, 양궁, 컬링 등 10여종의 스크린 스포츠와 아이들을 위한 다양한 아케이드 게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난 3월 16일, 오픈 첫 날부터 스크린 스포츠를 체험하기 위한 고객들이 줄을 서는 등 큰 관심을 끌었으며 네스타 리조트 고베의 투숙객들에게도 새로운 놀이 공간을 제공해 높은 만족도를 얻고 있다.

출처 : 금강일보(https://www.ggilbo.com)


커저가는 스크린 스포츠 시장!

한국의 스크린 스포츠 (스포츠 시뮬레이터) 경쟁력

2022년 기준 4조7000억원 규모로 급성장하고 있는 전 세계 스크린스포츠 시장에서 지난 20년간 출원된 관련 특허의 58.4%를 우리나라가 차지하면서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은 특허 주요국인 IP5국가(한국·미국·일본·유럽·중국)에 출원된 스크린스포츠 관련 특허를 분석한 결과 2002년 49건에서 2021년 203건으로 스크린 골프 및 야구 등의 시장 성장과 함께 연평균 7.8%씩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3일 밝혔다.

특히 스크린골프 시장이 확산세로 들어선 2010년 220건, 2011년 191건, 2012년 215건 등 3년간은 스크린스포츠 관련 특허출원이 연평균 200건을 넘어설 정도로 활기를 띠며 성장세를 보였다.

출원인 국적별로는 한국(58.4%, 1715건)이 1위에 올랐고 미국(17%, 500건) 일본(8.9%, 262건) 중국(6.4%, 188건) 덴마크(4.1%, 119건) 등의 순으로 파악됐다.

세부기술별로는 볼공급·스윙매트 등 주변장치(52.3%, 1,536건)가 전체 출원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골프·야구 재현 등 콘텐츠(30%, 882건) 볼추적·동작 센서 등 센싱(11%, 324건) 동작 영상처리·미니맵 제공 등 시각화(6.7%, 196건)가 그 뒤를 이었다.

특히 최근 5년간에는 센싱(177건) 및 시각화(89건) 기술의 출원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이는 스크린스포츠를 현장감 있게 구현하기 위한 기술개발의 결과로 분석된다.

다출원인 순위는 국내기업인 골프존(15.8%, 463건)과 SG골프(4.5%, 132건)가 각각 1위와 2위를 차지했다. 덴마크의 트랙맨(4.1%, 119건)이 그 뒤를 이었다.

이외에도 5위 엑스골프(2.2%, 66건) 6위 리얼야구존(1.7%, 50건) 8위 한국전자통신연구원(1.2%, 36건) 10위 리얼디자인테크(1.0%, 30건) 등 10위 내 한국 기업 또는 연구기관 6곳이 포진해 우리나라가 이 분야 기술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 스포츠 시뮬레이터 시장

북미(미국, 캐나다 및 멕시코) 유럽(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스웨덴, 오스트리아 및 기타 유럽) 아시아 태평양(중국, 한국, 일본, 인도, 호주,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베트남, 대만,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및 기타 APAC) 중동 및 아프리카(남아공, GCC, 이집트) 나이지리아 및 기타 ME&A) 남미(라질, 아르헨티나 기타 남미)

시뮬레이터 시장은 2023년 185억 달러로 추정되며, 2023년부터 2028년까지 연평균 7.1%로 2028년 261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시장은 조종사 및 운전자 교육 프로그램의 급증으로 인한 현실적인 교육 솔루션에 대한 수요와 같은 요인에 의해 주도됩니다.

VR을 활용한 스포츠 복 합 테마파크의 증가로 인해 이제는 더 이상 스크린 골프 브랜드 간의 경쟁이 아닌 스크린야구와 같은 모든 스크린스포츠가 경쟁구도로 형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허청(2019)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2018년 가상현실 스포츠 분야 국내 특허 출원은 357건으로, 2013년~2015년보다 69%가 량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이를 종목 별로 살펴보면, 스크린골프(79->107건), 스크린야 구(24->67건), 스크린테니스(1->4건), 스크린볼링(2->3건), 스크린축구(3->5건), 스크린양궁과 사격(17->24건), 스크린낚시(2->13건), 스크린컬 링(1-4건), 스크린승마(7-6건)으로 나타났다. 스크린승마를 제외하면 모든 스크린스포츠 종목 이 증가하였다

계 스크린 스포츠 시장은 2022년 약 4조 7000억원에서 2029년 약 11조 1000억원 규모로 추산돼 시장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 경쟁이 치열할 전망이다

스크린으로 골프 테니스 양궁 야구 등의 스포츠만 고집하지말고 여러 스크린 스포츠가 블루오션이 될 것 이다

국,내외 창업

등 자세한 문의는

김형민 본부장

010-3104-0624

hyungminaha@naver.com

728x90